티스토리 뷰
목차
장애인 고용장려금, 최대 월 9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다? “장애인을 고용하면 정부에서 지원금을 준다는데,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?” 사실 많은 기업들이 장애인 고용 의무가 있다는 건 알고 있지만, 지원금이 최대 월 90만 원까지 지급된다는 사실은 잘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. 특히 여성 중증장애인을 고용하면 더 높은 지원을 받을 수 있고, 의무고용률을 초과할 경우 추가 혜택까지 제공됩니다.
장애인을 고용하고도 지원금을 신청하지 않았다면, 놓치고 있는 금액이 꽤 클 수도 있습니다. 마감시기 전에 미리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세요. 지금부터 장애인 고용장려금 신청 방법과 받을 수 있는 지원금 혜택을 꼼꼼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.
1. 장애인 고용장려금 신청 방법 및 시기
✅ 신청 시기
~25.3.31(월)까지
📢 사업예산에 따라 조기 마감 될 예정.
✅ 신청 방법
- 전자 신청: 장애인고용공단 E신고
- 우편 신청 또는 방문 접수 가능 (전자 신청 시 처리 기간 단축)
2. 장애인 고용장려금 지원 대상 및 요건
✅ 지원 대상
- 월별 상시근로자의 의무고용률(2024년 기준 민간 3.1%, 공공 3.8%)을 초과하여 장애인을 고용한 사업주
- 최저임금 이상을 지급한 장애인 근로자 또는 최저임금 적용 제외 인가를 받은 장애인 근로자
✅ 상시근로자 기준
- 정규직, 계약직, 일용직, 아르바이트 포함
- 월 소정 근로시간이 60시간 미만인 근로자는 제외
- 임금 지급의 기초일수가 매월 16일 이상이어야 함
3. 장애인 고용장려금 지원 금액
2023년부터 적용된 장애인 고용장려금 월 지급 단가는 다음과 같습니다.
✅ 경증장애인 지원금
- 남성: 월 35만 원
- 여성: 월 50만 원
✅ 중증장애인 지원금
- 남성: 월 70만 원
- 여성: 월 90만 원
📢 단, 지급 단가와 월 임금액의 60%를 비교하여 낮은 금액이 적용됩니다.
4. 장애인 고용장려금 제출 서류
- 장애인고용장려금 지급신청서
- 장애인 근로자 명부
- 복지카드, 장애인증명서 등 장애인 인정서류 (최초 신청 시)
- 중증장애인 확인 서류 (해당 시)
- 장애인 근로자의 월별 임금대장
-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
- 기타 필요 서류
5. 장애인 고용장려금 유의사항
- 고용장려금 신청은 장애인 근로자의 임금을 전액 지급한 후 가능
- 고용장려금을 받을 권리는 3년간 행사하지 않으면 소멸
- 장애인 신규 고용장려금과 중복 지급 불가
6. 장애인 고용장려금 활용 팁
✔ 의무고용률 초과 장애인 고용 시 추가 지원 가능
✔ 장애인 근로자의 근속 기간을 늘릴 경우 인센티브 혜택 확인
✔ 고용장려금 외에 직장 내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 지원금도 활용 가능