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2025년부터 최저시급이 10,030원으로 인상됩니다. 이번 인상으로 월급, 연봉, 실수령액이 어떻게 변하는지, 그리고 역대 최저임금 변동 추이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립니다.

     

    2025년 최저시급 & 최저임금 인상 내용

     

     

    시간당 최저시급 : 10,030원
    전년 대비 인상액 : 170원(+1.7%)
    ✅ 적용 기간 : 2025년 1월 1일 ~ 12월 31일

     

     

    📌 2024년 최저시급: 9,860원 → 2025년 10,030원으로 상승!
    📌 최저임금 10,000원 시대 첫 돌파!

     

    2025년 최저시급 & 최저임금 인상 내용
    2025년 최저시급 & 최저임금 인상 내용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최저임금 안내.pdf
    1.67MB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연도별 최저시급 & 최저임금 변동 추이 (2015~2025년)

     

    📌 2018~2019년 급격한 인상 후 2020년부터 완만한 상승세

    연도별 최저시급 & 최저임금 변동 추이 (2015~2025년)
    연도별 최저시급 & 최저임금 변동 추이 (2015~2025년)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최저시급 월급 & 연봉 계산

     

     

    💼 월급 계산 (주 40시간 기준, 주휴수당 포함)

     

    2025년 최저시급 월급 & 연봉 계산
    2025년 최저시급 월급 & 연봉 계산

     

    📌 209시간 계산 공식

    • (10,030원 × 8시간 × 5일 × 4.345주)
    • 주휴수당 포함된 금액 기준

     

    최저임금 10,030원 받을 때 연봉은?

     

    📢 연봉 계산법 : 월급 × 12개월 = 연봉

     

    연봉(세전) = 2,096,270원 × 12개월 = 25,155,240원

     

    ✔ 2025년 최저임금 연봉 (세전 기준) = 약 2,515만 원
    연봉(세후) 예상 : 약 2,279만 원 ~ 2,312만 원 (4대 보험료 & 세금 공제 후)

     

    📌 부양가족, 비과세 항목 등에 따라 연봉 실수령액은 다를 수 있음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최저시급 실수령액 (세후 계산)

     

     

    최저시급 월급을 받는 근로자의 실수령액은 세금과 4대 보험료를 제외한 금액입니다.

     

    📝 세후 실수령액 계산 (1인 근로자, 부양가족 없음 기준)

    2025년 최저시급 실수령액 (세후 계산)
    2025년 최저시급 실수령액 (세후 계산)

     

    📌 부양가족이 있을 경우 공제액이 달라져 실수령액이 소폭 증가할 수 있습니다.
    📌 근로소득세, 지방소득세는 면제 대상 (최저시급 근로자 기준)

     

     

    업종별 적용 대상 & 예외

     

    ✅ 적용 대상

    • 모든 업종 (아르바이트, 정규직, 계약직 포함)

     

    ❌ 적용 예외

    • 1인 사업장 대표 (자영업자) → 최저시급 적용 X
    • 특수고용직 (배달기사, 플랫폼 노동자) → 적용 여부 개별 확인 필요

     

     

    📌 최저시급 인상으로 달라지는 점

     

    ✅ 아르바이트생 : 최저시급 10,030원 보장!
    ✅ 소상공인 부담 증가: 인건비 상승으로 인한 가격 조정 가능성
    ✅ 정부 지원 제도 확대: 일자리안정자금, 근로장려금(EITC) 등 지원책 검토 중

     

    💡 2025년 최저시급 관련 Q&A

     

    ❓ 최저시급보다 적게 받으면 신고할 수 있나요?
    ✅ 네! 고용노동부(국번 없이 1350) 또는 고용노동부 홈페이지에서 신고 가능합니다.

     

    ❓ 주휴수당은 언제 받을 수 있나요?
    ✅ 주 15시간 이상 근무 & 한 주 동안 정상 근무 시, 주 1일 유급휴일 부여!

     

    ❓ 아르바이트생도 4대 보험 가입해야 하나요?
    ✅ 1개월 이상 근무 시 4대 보험 의무 가입 (일부 예외 존재)